-
[Javascript] 문자열 함수언어/Javascript 2022. 6. 8. 22:53
문자열. 말 그대로 '문자의 나열'을 뜻한다
문자열에서 개개의 문자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 두가지
const str = "cat" console.log(str.charAt(1)); // output => "a" console.log(str[1]); // output => "a"
toLowerCase : 영어를 모두 소문자로 변환해준다 ( ↔ toUpperCase : 대문자로 변환)
const str = "ABCDabcd"; console.log(str.toLowerCase()); // output => "abcdabcd"
startsWith와 endsWith : 문자열의 앞 또는 뒤에 내가 찾는 문자열이 있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(boolean)
const str = "abcdefghijklmnopqrstuvwxyz"; console.log(str.startsWith('abc')); // output => true console.log(str.endsWith('abc')); // output => false console.log(str.startsWith('yz')); // output => false console.log(str.endsWith('yz')); // output => true
substring : 문자열을 잘라준다 -> start 부터 end 전까지 리턴함
const str = "abcdefghijklmnopqrstuvwxyz"; console.log(str.substring(1, 3)); // output => "bc" console.log(str.substring(5)); // output => "fghijklmnopqrstuvwxyz"
replace : 조건에 맞는 문자열을 찾아서 원하는 문자열로 치환한다
const str = "Apple and Banana"; console.log(str.replace("and", "&")); // output => "Apple & Banana"
localCompare : 참조 문자열이 정렬 순서에 따라 앞, 뒤, 동일 여부를 숫자를 반환한다
const a = 'apple'; const b = 'banana'; console.log(a.localeCompare(b)); // output => -1 console.log('a'.localeCompare('c')); // output => -1 console.log('check'.localeCompare('against')); // output => 1 console.log('a'.localeCompare('a')); // output => 0
자세한 설명 : 참조문자열(a)가 비교문자열(b) 이전에 발생한 경우 음수, 이후에 발생한 경우 양수, 동일할 경우 0
주의할 점 : 브라우저에 따라 -1 이나 1 이 아닌 -2 또는 2로 반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
padStart : 원하는 길이 만큼 문자열의 시작부터 원하는 문자로 채운다 ( ↔ padEnd : 문자열의 끝부터 채운다)
const str1 = '5'; console.log(str1.padStart(4, '0')); // output => "0005"
코딩테스트 문제를 풀 때 사용하거나 다른 분들 풀이를 보면서 배운 문자열 함수들을 정리하는 개념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
'언어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이벤트 루프 - 런타임 개념 (0) 2022.06.22 [Regex] 정규표현식 - 문자 클래스 (0) 2022.06.16 [Javascript] Set 객체 (0) 2022.06.07 [Regex] 정규표현식 - Flags (0) 2022.05.31 [Javascript] 객체의 키 이름을 동적 생성 하기 (0) 2022.05.30